네트워크 기본 상식
HTTP는 뭘까
우리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로그인을 하거나 페이지를 클릭하거나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는 행위로 서버에 의뢰를 한다.
우리가 보는 이 웹 브라우저를 클라이언트라고 부른다.
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의 일련의 흐름을 결정하는것이 바로 HTTP라고 불리는 프로토콜이다.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 신호 송신의 순서, 데이터의 표현법, 오류(誤謬) 검출법 등을 정함. 통신 규약(通信規約).
내가 태어나기도 전인 1990년 세계의 최초웹서버와 웹 브라우저가 개발되었다 .
한국에는 1993년 최초의홈페이지가 개발되었다.
생각보다 최근일이구나 ..
TCP/IP
정보처리기사에서 자주나오는 이 개념... 이해없이 그냥 외우다 보니 사실 잘 모르던 개념이다.
네트워크는 tcp/ip프로토콜에서 움직인다. http는 그중하나이고..
tcp/ip는 바로 알쏭달쏭인터넷세상에서 어떻게 통신을 할지 규칙을 정해놓은것이다.
어떤언어로 이야기할지 , 어떻게 시작할지, 어떻게 종료할지 , 등등등을 규정해놓는것이다.
TCP/IP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계층/ 링크 계층 이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자세한건 따로 글을 정리하겠다.
애플리케이션계층은 유저에게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통신의움직임을 결정하고 있다.!!
예로는 FTP 와 DNS 등이 있다. HTTP도 이 계층에 포함된다.
트랜스포트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핵심역할을 하는 계층이다.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계층
어떤경로로 상대방의 컴퓨터까지 패킷(전송하는 데이터의 최소단위)을 보낼지를 다룬다.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하드웨어적인 부분이다.
케이블, 커넥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등...!